기업가치

상대가치평가

skinternet 2012. 3. 6. 17:20

상대가치평가(Relative Valuation) 법

 

1. PER = Price / 주당 순이익(EPS)

   - 기업가치 = 정상적 PER * EPS

   - 정상적 PER로 ① 영업성격, 기업규모, 사업위험 측면의 유사기업의 PER ② 동종산업의 평균 PER ③ 과거 수년간의 평균 PER 사용

   - 실무에서 빈번히 사용하나 오용가능성 존재

   - DCF 사용시 추정하는 위험, 성장률, 배당성향에 대한 가정을 PER 이용시 생략하는 경향

   - 정상적 PER를 구하는 과정이 자의적일 가능성이 높아 예측 오차가 클 수 있다는 한계

 

2. PBR = Price / 주당 순자산(BPS)

   - 기업가치 = 정상적 PBR * 주당 순자산(BPS)

   - 정상적 PBR로 자산이용 효율성이 유사한 기업 PBR, 산업평균 PBR 사용

   - 자기자본평가지수(Equity Valuation Index)

   - 장부가치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직관적인 수치

   - 순이익이 0보다 작아 PER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

   - 순이익처럼 장부가치도 회계처리 방법에 의하여 영향 받음

   - 고정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서비스 업종은 무의미함

   - 기업이 장기간 결손이면 PBR도 음수가 되어 무의미함

 

3. PSR = Price / 주당 순매출액(SPS)

   - 기업가치 = 정상적 PSR * 주당 순매출액(SPS)

   - PER 또는 PBR은 때로는 음수가 되어 의미가 없으나, PSR은 곤경에 처한 기업에도 사용 가능

   - 순이익과 장부가치가 감가상각비, 재고자산, 특별손익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데 비하여 매출액은 임의로 조작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움

   - PSR은 PER 만큼 변동성이 심하지 않아 가치평가에 신뢰성이 높음

   - 비용을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매출액 순이익률(ROS : Return On Sales)로 조정 필요

 

※ 회계처리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

1. 매출채권 : 대손충당금 설정 적정성

2. 재고자산 : 재고자산 평가의 적정성

3. 유가증권 : 유가증권 평가의 적정성, 감액손실반영 여부

4. 유무형자산 : 감가상각비의 적정성